오랜만에 친구들과의 대화.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었다. 우리가 건너 건너 아는 어떤 사람이 바람을 펴서 이혼을 했다는 그런 이야기. 심지어 아이가 있는데도 그런 일을 벌였단다.
물론, 당사자에게 직접 들은 게 아니라 ‘팩트 체크’가 되었는지는 확실치 않았다. 게다가 건너 건너 아는 사람이라고 쳐도 길을 지나가다가도 마주칠 일이 없는 사람이라 그냥 쉽게 말할 수 있는 가십거리에 불과했다. 그런데 이런 자극적인 이야기가 재밌는건, 어쩔 수 없는 건가?
그러다가 일과 사생활을 얼마나 분리할 수 있는가 생각이 들었다. 어제 우연히 라디오를 듣다가 에릭 클랩튼의 사생활이 그렇게 좋지 않다는 걸 알게 되었는데, 친구의 와이프를 유혹해 결혼까지 했으면서 그 이후에 또 바람을 피고 다른 모델과 아이를 갖기까지 했다. 사실 단순히 친구를 질투해서 사랑없는 결혼을 했다고 본인이 밝히기도 했다. (현실판 부부의 세계..?) 하지만 Wonderful Tonight을 비롯해서 불의의 사고로 아들을 잃은 후 낸 ‘Tears in heaven’ 등.. 아직까지도 사랑받는 곡을 써낸, 전설적인 기타리스트이자 싱어송라이터라는 사실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. 그는 엘튼 존, 존 허트 등과 더불어 대영제국 3등급 훈장을 수여받았다.
만약에 우리나라였다면 가능할까? 때로는 자신의 능력보다 사생활이 더 중요하게 여겨질 때가 많은 것 같다. 근데 마구 비난할 수는 없는게, 나도 어느새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. 사회에서 용인이 되지 않는 잘못을 저지르는 사람은 응당 그 죗값을 치뤄야 한다고. 음주운전이나 도박을 하고도 잠깐의 자숙기간을 거친 후 다시 TV에 돌아오는 사람들을 향해 손가락질했다.
이런 저런 생각이 들면서도 그 기준을 정하기가 힘들다. 다들 먹고 살려고 하는 거고, 살다보면 실수를 할 수도 있지 않은가, 결국 다 사람인데. 다른 사람을 향한 잣대는 강하고, 나 스스로에게는 한없이 관대한 그런 사람이 될까 두렵다. 자기객관화가 가장 중요하다고 하는데, 그게 정말로 객관적인 것인지 판단할 수 있는 척도가 따로 있는 것도 아니니 말이다.
마지막에 떠오르는 말은, 입은 무겁게, 귀는 가볍게.
오늘의 일기